과정 소개

그리스도인으로서 살아갈 때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이슈들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찾기 위해서는 좀 더 집중적이고 깊이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를 위해 연구하고 토론하는 것이 본 과정의 목적입니다. 이 시대의 흐름을 맹목적으로 따라가기를 거부하는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함께 모여 책을 읽고 토론하고 생각을 정리하면서 우리를 둘러싼 이슈들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해보려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이슈의 종류가 많은 만큼 생각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할지 모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조급하지 않게, 또한 피상적이지 않고 깊이 있게,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하나씩 살피면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그 뜻에 우리의 삶을 맞추려는 시도를 해보려고 합니다.

과목 소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보수 세력과 진보 세력이 갈수록 격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보수와 진보를 넘어서 극우와 극좌까지 스펙트럼이 넓어지면서 세상이 더 극심한 대립과 혼란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심지어 교회와 기독교인들도 이 갈등의 파고에 휩쓸려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대립과 갈등이 극심한 것에 비해 실제로 보수와 진보, 극우와 극좌가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은 드문 것 같습니다. 단지 한두 가지 주제만 가지고 ‘나는 보수주의자’ ‘너는 진보주의자’라고 규정하는 모습입니다. 그러다 보니 내 입장만 절대적으로 옳고 반대편은 무조건 틀렸다고 너무 쉽게 결론 내리고, 심지어 상대편을 악마화하는 데까지 나가고 있습니다.  보수와 진보가 무엇일까요? 극우와 극좌는 무엇일까요? 그 사상의 뿌리는 무엇이고, 그것이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요? 각 사상의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기독교인은 이 이슈에 대해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하나님은 진보주의자일까요, 아니면 보수주의자일까요? 기독교인은 어느 입장에 서야 할까요?

이번 25년도 2학기에는 현대 사회정치 사상의 핵심인 보수와 진보, 극우와 극좌 사상을 탐구하면서 각각의 장단점을 파악해 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기독교인과 교회도 이 주제를 어떻게 평가하고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지 탐구해 보려고 합니다.

강사

김형원 교수(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조직신학/윤리)

연구 주제 (새로운 주제가 추가될 수 있음)

(1) 연구 주제 예시 : 경제와 돈, 그리스도인과 정치, 정의와 공정, 평화, 생명 윤리(자살, 안락사, 낙태, 사형), 결혼/이혼/비혼, 인간의 정체성과 인공지능, 인간 복제와 하나님의 형상, 인권, 페미니즘, 성윤리, 하나님의 뜻, 소명과 비전, 죽음, 악과 고난, 생태 신학, 동물 신학, 용서, 노동과 직업, 먹거리(육식과 채식), 몸, 여행, 여가와 쉼, 보수와 진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관계, 소명, 고통과 하나님의 주권 등

(2) 2025년 연구 주제
1학기: 용서
2학기: 보수와 진보, 극우와 극좌(하나님은 보수주의자일까, 진보주의자일까?)

모집 일시

2025년 7월 1일(화) ~ 2025년 7월 25일(금)까지 / 선착순 마감

지원 대상

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았더라도 신학적인 책을 읽고 토론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기본 소양을 갖춘 사람 누구나

모집 인원

00명 (정원 15명내에서 결원 보충)

전형

서류 심사 후 개별 통지 예정

수업 기간

(1) 격주 목요일 오후 8:00 – 10:00
(2) 9/11(개강일), 9/25, 10/16, 10/30, 11/13, 11/20, 12/4, 12/18

수업 방식

온라인 (ZOOM) 수업으로 진행되며 매 학기 다른 주제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학기마다 하나의 주제에 대해 3-4권 분량의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공부하며, 수업 계획서에 제시된 필독서를 읽고 토론하게 됩니다. 강의 영상 다시보기는 약 1주간 제공되며 매 수업마다 2명씩 발제를 진행합니다.

등록금

20만 원
정기 후원 약정 필수(합격 발표 이후 후원금 출금)

* 기독연구원 느헤미야는 모든 재학생이 후원자로 가입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후원금은 다른 분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쓰이게 되며, 반드시 월 1만 원 이상 CMS를 통한 후원을 해야 합니다.

지원 방법

지원서 + 개인정보 동의서 + 후원 약정
1. 지원서와 개인정보동의서를 작성하여 이메일 nics@nics.or.kr로 송부 – 서류심사
2. 후원약정은 www.nics.or.kr/funding(홈페이지 후원안내) 에서 작성 – 후원동기란에 ‘각 과정 지원자 ‘선택, 합격 발표 이후 후원금 출금.

지원서

지원서 및 개인정보동의서(한글버전_hwp)  지원서 및 개인정보동의서(워드버전_word) – 지원서 파일이름을 ‘본인이름-과정명’으로 저장 후 발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