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학

저서 : 「이사야가 본 환상」(비블리카아카데미아),「특강 예레미아」(IVP), 「구약의 숲」(도서출판 대장간),「소예언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1,2,3」(성서유니온), 「나를 넘어서는 성경읽기」(성서유니온), 「복음의 공공성」(비아트로), 「특강 이사야」(IVP), 「다니엘처럼」(대장간),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대장간), 해제 「세상의 모든 처음: 구약 창세기」(봄이다), 해제 「지혜와 삶과 사랑: 구약 잠언, 전도서, 아가」(봄이다), 해제 「세상의 모든 처음(구약):창세기」(봄이다), 해제 「영광의 탈출, 새로운 삶을 향하여 : 출애굽기」(봄이다), 해제 「선택, 어느 편에 설 것인가? (구약: 여호수아 · 사사기 · 룻기)」(봄이다), 해제 「어둠을 딛고 빛을 읽다: 구약 이사야서」(봄이다), 해제 「마음의 끝에서 부르는 새 노래 : 시편」(봄이다), 「오늘을 위한 레위기」(IVP), 「한 날의 탄식, 천 년의 기도 손바닥 메시지: 시편」(봄이다) 해제 「왕국의 출발, 왕의 조건을 묻다 : 사무엘기(상·하)」(봄이다), 「구약으로 읽는 부활신앙」(뉴스앤조이) 공저 : 「희년, 한국사회, 하나님나라」(홍성사), 「정치하는 교회 투표하는 그리스도인」, 「한국 교회, 개혁의 길을 묻다」(이상 새물결플러스), 「성경을 보는 눈」(성서유니온), 「노동하는 그리스도인」(대장간), 「빈 자리 있습니다」(평화교회연구소) 역서 : 「이사야서: 제5복음서」 (크리스챤다이제스트) 해제 「하나님 없는 세상에서 하나님과 함께 살아가기(구약: 에스라기 · 느헤미야기 · 에스더기)」(봄이다)

대표 저서: 「Scribal Culture and Intertextuality: Literary and Historical Relationships between Job and Deutero-Isaiah」(Mohr Siebeck), 공저 : 「The Early Reception of the Torah」(DCLS 39; De Gruyter), 「Jeremiah in History and Tradition」 (Routledge), 「Oxford Handbook of the Bible in Korea」 (Oxford University Press)., 저널: “Wisdom Incarnate?” (JESOT), “Shared Ideas in Job and Deutero-Isaiah” (ZAW), “Divergence of the Book of Job from Deuteronomic/Priestly Torah” (SJOT), “Meaning and context in Job and Tobit” (JSOT), “Divergence of the Book of Job from Deuteronomic/Priestly Torah” (Biblica), “Re-Examining the Torah in the Book of Isaiah” (RB), “Sapientialised Priest?” (ZAW) 국내 저서: 「특강 욥기」(IVP), 「특강 전도서」(IVP); 공저: 「성폭력, 성경, 한국교회」(기독교문서선교회), 「혐오와 한국교회」(삼인), 「바이러스에 걸린 교회」(삼인)
자세한 출판리스트는 다음의 링크를 참조 https://unil.academia.edu/JiSeongJamesKwon/

저서 : 「사사기 어떻게 읽을 것인가」(성서유니온), 「세계관적 설교」(성서유니온), 「세계관적 성경읽기」(성서유니온) 역서 : 「온 세상을 위한 구약 윤리」(IVP), 「도킨스의 망상 (만들어진 신이 외면한 진리)」(살림), 「크리스토퍼 라이트 성경의 핵심 난제들에 답하다」(새물결플러스) 공저 : 「노동하는 그리스도인」(대장간), 「공룡과 기독교 신앙(스펙트럼 5)」(IVP)
신약학

저서 : 「로마서 산책」(복있는사람), 「행위 없는 구원」(SFC출판부), 「네가 읽는 것을 깨닫느뇨」(SFC출판부), 「갈라디아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성서유니온선교회),「일상,부활을 살다」(복있는사람), 「로마서 13장 다시읽기」(뉴스앤조이),「갈라디아서 산책」(복있는 사람), 「위선」(IVP), 해제 「행진, 담대하게 거침없이: 사도행전 」(봄이다), 해제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마가복음서」(봄이다), 해제 「성취된 약속, 왕으로 온 메시아 : 마태복음서」(봄이다), 「모의리」(숭실대학교출판부) 공저 : 「노동하는 그리스도인」(대장간), 「한국교회, 개혁의 길을 묻다」(새물결플러스) 공역 : 「IVP 성경신학사전」(IVP), 「예수의 정치학」(IVP) 역서 : 「기독교와 문학」(크리스챤다이제스트) , 「고린도전서」(SFC출판부), 해제 「예수 연대기 : 누가복음서」(봄이다), 감수 「메시지 구약 시가서」(복있는사람), 해제 「검은 현실을 부수는 빛의 소리 : 요한복음서」(봄이다), 해제 「벼랑 끝 인생에게 주는 생존방정식 : 로마서, 고린도전후서, 갈라디아서」(봄이다),

저서 :「Jesus as Prophet in the Fourth Gospel」(Sheffiled Phoenix Press),「요한복음의 새관점」(솔로몬),「고린도후서주석」 (이레서원), 「그리스도인의 세상보기」(대장간), 「신약성서의 여성」(대장간), 「이해와 설교를 위한 요한복음」(이레서원) 공저 : 「복음주의와 한국교회」(합신대학원출판부),「요한 일, 이, 삼서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두란노아카데미),「야고보서, 벧전후, 유다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아카데미),「요한복음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두란노아카데미),「주는 영이시라」(합신대학원출판부), 「노동하는 그리스도인」(대장간), 공저 「요한복음 연구」(이레서원),
조직신학 및 기독교윤리

저서 : 「정치하는 그리스도인」(SFC출판부), 「기독교신학의 숲1」(대장간),「기독교신학의 숲2」(대장간), 「행복한 크리스천」(살림), 「소명, 그 거룩한 일상」(대장간), 「교회는 어떤 공동체인가? (교회의 본질을 묻다)」(대장간), 「소망의 선지자 엘리야」(느헤미야)

저서 : 「전환기의 한국교회(복음과 사회적 제자도를 위한 신학)」(대장간), 「기독교 윤리의 숲」(대장간) 공저 : 「노동하는 그리스도인」(대장간), 「안식일이냐 주일이냐」(대장간), 「칭의와 정의」(오직 믿음으로만?)(새물결플러스), 「탈교회: 탈교회 시대, 교회를 말하다(기독연구원 느헤미야 학술총서 2)」(느헤미야)

저서 : 「돈에서 해방된 교회」(포이에마)
교회사

저서 : 「교회사의 숲」(대장간), 「FM기도」(요단), 「미국기독교우파의 정치운동」(넷북스), 「사랑의 중심에서 흔들리지 않는다」(넷북스), 「한국개신교근본주의」(대장간), 「세상을 바꾸는 도전」(대장간), 「성령을 받으라」(대장간), 「소명」(대장간), 「한국교회, 인문주의에서 답을 찾다」(대장간), 「세계화 시대의 그리스도교」(홍성사), 「복음주의 리포트 (복음주의의 역사, 쟁점 그리고 과제: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대장간), 「우리는 교회인가? (삶으로 쓴 교회 이야기)」(대장간), 「하나님나라, 한국교회, 느헤미야」(느헤미야) 공저 : 「교회 세습, 하지 맙시다」(홍성사), 「변화하는 한국 교회와 복음주의 운동」(두란노아카데미), 「노동하는 그리스도인」(대장간) 역서 : 「급진적 기독교」(대장간), 「기독교 정치학」(대장간), 「레드레터 크리스천」(대장간), 「기독교는 어떻게 세상을 변화시키는가 」(새물결플러스), 「초기 기독교 사상의 정신」(복있는사람), 「그리스도인이 세상을 바꾸는 7가지 방법」(살림), 「3천년 기독교 역사2」(CLC), 「미국의 종교」(성광문화사), 「다시보는 복음주의 유산」(요단), 「영성 생활」(누멘), 「예수 그리스도의 신비주의」(누멘), 「성령의 열매」(누멘), 「하버드 천재들, 하나님을 만나다」(새물결플러스), 「나는 왜 세계기독교인이 되었는가」 (복있는사람), 「월터스토프 하나님의 정의」(복있는사람), 「그리스도교의 역사와 침묵」(CLC)

저서: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종로서적), 「2000년대를 향한 그리스도인의 과제」(나침반사), 「한국근대역사학의 이해」(문학과지성사), 「민족통일을 준비하는 그리스도인」(두란노), 「단재 신채호의 역사학 연구」(문학과지성사), 「한 시골뜨기가 눈떠가는 이야기」(두레시대), 「근대문명과 한국근대사」(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사연표」(역민사), 「한국 기독교 수용사 연구」(두레시대), 「우리 역사 5천년을 어떻게 볼 것인가」(바다출판사), 「민족 통일 여행일기」(지식산업사), 「기독교유적 여행일기」(지식산업사), 「역사에 살아있는 그리스도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 근현대 역사학의 흐름」(푸른역사), 「역사의 중심은 나다」(현암사), 「감히 말하는 자가 없었다」(지식산업사), 「한국 기독교와 민족의식」(지식산업사), 「잊히지 않는 것과 잊을 수 없는 것」(포이에마), 「역사, 중심은 나다」(나녹), 「한 시골뜨기가 눈떠가는 이야기」(새물결플러스) 공저 : 「기독교는 사회에 무엇을 줄 수 있는가」(대장간), 「언더우드 자료집 II」(연세대학교출판부),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묻다 」(철수와영희), 「생각과 실천 2」(한길사), 「씨알의 희망과 분노」(동연), 「유신을 말하다」(나름북스), 「화해와 평화의 좁은 길」(홍성사), 「왜 눈떠야 할까」(신앙과지성사), 「내 인생의 책 57」(경향북스), 「거리에서 국정 교과서를 묻다」(민족문제연구소), 「어린이 대학 경제+역사 사회 세트」(창비), 「어린이 대학」(창비) 역서 : 「백범일지」(역민사), 「조선상고사 상」(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조선상고사 하」(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인문사회과학

저서 : 「시인이여, 광장의 불꽃은 」(눈), 「귀향 상」(현장문학사), 「귀향 하」(현장문학사), 「조국 상」(풀빛), 「조국 하」(풀빛), 「천년 동안만」(문예마당), 「씨앗/통조림」(하늘연못),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박이정), 「민족시인 신동엽」(사계절), 「시인 신동엽」(현암사), 「이찬과 한국 근대문학」(소명출판), 「사회적 상상력과 한국시」(소명출판), 「부활을 믿는 사람들」(소명출판), 「한일 쿨투라」(열린길), 「신동엽」(글누림), 「그늘-문학과 숨은 신」(새물결플러스), 「씨앗/통조림」(지식을만드는지식), 「곁으로」(새물결플러스), 「처럼」(문학동네), 「일본적마음」(책읽는고양이), 「부러진 나무에 귀를 대면」(천년의시작), 「좋은 언어로」(소명출판), 「나무가 있다」(아르떼), 「일본의 이단아」(소명출판), 「서른세 번의 만남 백석과 동주」(아카넷) 공저 : 「일본 문화의 힘」(동아시아),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소명출판), 「다시 오는 봄」(산책), 「종교와 노래」(민속원), 「참 스승」(새물결플러스), 「광화문 광장에서」(푸른사상), 「사회적 영성」(현암사),「전쟁기 문학담론과 집단기억의 재구성」(역락), 「세계신화여행」(실천문학사), 「세계문학은 한국문학의 거울인가」(섬앤섬),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서해문집), 「이 세상에 나온 것들의 고향을 생각했다」(소명출판) 역서 : 「예언자의 동산」(당그래), 「오스기 사카에 자서전」(실천문학사), 「이십억 광년의 고독」(문학과지성사), 「겨울숲」(화남출판사), 「어둠의 아이들」(문학동네)

저서 : 「블랙홀 교향곡」(동녘사이언스),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IVP),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새물결플러스), 「블랙홀 강의」(김영사) 공저 : 「기원」(휴머니스트), 「대화」(복있는사람) 역서 : 「쿼크, 카오스 그리고 기독교」(SFC), 「현대 과학과 기독교의 논쟁」(살림)

저서 : 「복음주의와 대중문화: 창의적 문화선교의 발자취」(빅퍼즐북스), 「윤영훈의 명곡묵상」(IVP) 공저 : 「환태평양 시대의 웨슬리안 성결운동」(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변화하는 한국사회와 복음주의 운동」 (두란노), 「현대인과 기독교」(성결대학교 출판부), 「곁에 머물다」(대한기독교서회), 「문화시대의 창의적 그리스도인」(두란노아카데미) 역서 : 「3천년 기독교 역사3」(CLC) 공역 : 「하나님의 10가지 우선순위」(생명의말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