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9월 30일 >
” 제2성전기의 의미와 중요성 “
강사 : 김근주 교수 (구약학,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사회 : 권지성 교수
귀환 이후 세워진 두 번째 성전의 존속과 연관해 포로기 이래 주후 70년 성전 파괴에 이르는 시기를 제2성전기라고 부릅니다. 이 시기는 멸망과 포로, 고대 근동 세계 전역을 아우르는 압도적인 제국들의 연이은 출현이라는 초유의 상황을 겪으면서 그에 대한 응답으로 구약 성경이 형성되던 시기이고, 그러한 구약 성경으로 변화된 세상을 살아가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는 종종 ‘신구약 중간사’라는 시작도 끝도 명료하지 않은 표현으로 불리며 주로 신약의 배경사처럼 다루어지곤 했지만, 그러한 취급은 머리와 꼬리가 뒤집어진 형국입니다. 제2성전기는 유례없을 만큼 활발한 문서 형성 활동이 이루어졌던 시기이고 전통적인 야훼 신앙을 간직한 채 완전히 달라진 세상 속에 살아가면서 격렬하게 몸부림쳤던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신앙에 기반하여 살던 이들이 새로운 현실에 대응하며 이루어낸 결과물 가운데 쿰란 문헌이 있고, 신약 성경이 있으며, 그보다 좀 더 이후 시기에 미슈나를 비롯한 랍비 문헌들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2성전기는 신약의 배경이라기보다는, 구약 신앙이 새로운 현실에서 어떻게 확립되고 심화되며 적응하는가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접근할 때, 신약은 완전히 새로운 어떤 책이 아니라, 구약의 본질과 핵심을 견고하게 이어간 책, 구약의 연장선임을 확인하게 됩니다.
< 2025년 10월 14일 >
“기억, 선전,역사: 페르시아 시대의 유대 역사서술 “
강사 : 레스터 그래브 교수(구약학, 헐대학교)
사회 : 권지성 교수
페르시아 시대 전후로 등장한 유대 문헌이 상당수 존재합니다. 문제는 이들 가운데 어느 것이,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유대 역사를 신뢰할 수 있는 시각으로 제공하는가 하는 점입니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당시 고대 근동과 지중해 세계의 역사 서술과 비교하는 맥락에서 검토합니다.
< 2025년 10월 24일 >
“ 바울, 아덴에서의 문화 간 소통 “
강사 : 크레이그 키너 교수(신약학, 애즈베리신학교)
사회 : 김성희 교수
바울은 헬라 수사학, 철학, 문학에 대한 고급 훈련을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지만, 사도행전 17장에서 그는 자신이 가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복음을 전달합니다. 그는 성경적 주제를 다양하게 전개하되, 엘리트 청중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표현하려 합니다. 이를 통해 오늘날 복음을 문화 간에 소통하는 모델을 제시합니다.
고대의 종종 간과되는 세부 사항에 주목하면, 바울의 전략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재해석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11월 4일 >
“히브리 성서의 출생 서사 속 여성들: 생명, 전략 그리고 전환의 리더십 “
강사 : 이영길 박사(구약학, 연세대학교)
사회 : 김근주 교수
히브리 성서의 출생 서사는 위기 속에서 여성들이 지혜와 전략을 발휘하며 주도적으로 상황을 돌파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본 강연은 창세기부터 사무엘상까지 이어지는 다양한 출생 서사를 검토하며, 능동적 여성상과 주체적 역할, 그리고 전환기적 리더십에 주목합니다. 여성들이 사회 제도와 환경을 능숙하게 활용하여 가족의 미래와 공동체의 운명을 결정지은 방식을 분석하고, 하나님의 언약 성취와 이스라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 여성상 서사의 의미를 논합니다.
< 2025년 11월 18일 >
“ 바울과 신비제의: 회고와 전망 “
강사 :정동현 교수(신약학, 오스틴장로회신학교)
사회 : 권연경 교수
초기 기독교, 특히 바울 사상과 신비제의의 관계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학계에서 큰 관심을 끌었던 주제 중 하나입니다. 본 강연은 이 주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접근 방식이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검토하고, 오늘날 바울 서신 및 초기 기독교를 이해하는 데 있어 신비제의라는 비교 대상이 지니는 의의를 고찰합니다.
일시|2025년 9월 30일(화), 10월 14일(화), 10월 24일(금), 11월 4일(화), 11월 18일(화)
저녁 7시 30분 ~ 9시 30분 (90분 강의, 30-50분 토론)
방식|1. 줌(zoom)을 활용한 온라인 강의(모집이 끝난 이후, 강의 전 1~2일 내 주소 링크 송부 예정)
2. 일주일 간 녹화 영상 다시 보기 제공(사전 신청 필수)
등록비|강의 당 2만 원(느헤미야 후원자 및 한국구약학연구소 회원은 강의 당 1만 원) / 신규 정기 후원자도 본 강의 및 특강, 포럼, 세미나 등 다수의 강의 할인 수강 / 농협 301-0050-2652-01(기독연구원느헤미야) 예금주 ‘성명 콜로’로 입금 (예: 홍길동콜로)
★ 신청하신 성함으로 수강료 입금해 주시고 명의가 다를 시 메일이나 문자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사정에 따라 취소해야 한다면 메일이나 문자로 꼭 연락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 당일 취소 및 환불 불가합니다.
등록 마감 | 2025년 9월 21일(일)까지(입금 완료하셔야 신청됩니다)
참가 신청| 신청 폼( https://forms.gle/f4pDTG2XFpqpQYJ58 )에 신청 후 입금
문의|nics@nics.or.kr, 02-323-0208